팔라바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라바 문자는 팔라바 왕조 시대에 타밀 브라흐미 문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문자이다. 이 문자는 동남아시아로 전파되었으며, 둥근 획과 직사각형 획을 결합하고 서예적 효과를 더한 것이 특징이다. 카담바-팔라바 문자는 칸나다 문자와 텔루구 문자의 초기 형태로 발전했다. 현재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지만, 포함하기 위한 제안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쓰이지 않는 문자 - 서하 문자
서하 문자는 1036년 야리인영이 창제한 약 6,000자로 구성된 서하 왕조의 고유 문자 체계로, 한자의 영향을 받았지만 독자적인 구조를 지니며 정부 공식 문서 및 불경 번역 등에 사용되었고, 서하 멸망 후에도 사용 기록이 있으며, 현재 유니코드에 6,145자 이상이 등재되어 일부 글자에는 중국에 대한 대항 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 쓰이지 않는 문자 - 쯔놈
쯔놈은 베트남어 어휘를 표기하기 위해 한자를 기반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표의 문자 체계로, 8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 사용되었으며 베트남 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꾸옥응으 도입 후 쇠퇴하여 현재는 연구 및 보존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 브라흐미계 문자 - 타이 문자
타이 문자는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태국어 문자 체계로, 수코타이 문자를 기반으로 크메르 문자를 수정하고 성조 부호를 도입하여 태국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를 표기한다. - 브라흐미계 문자 - 데바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유래한 아부기다 문자로 남아시아 지역에서 여러 언어를 표기하며, 상단의 가로획이 특징이고 유니코드를 통해 컴퓨터 입력이 가능하다.
팔라바 문자 | |
---|---|
기본 정보 | |
![]() | |
문자 유형 | 아부기다 |
사용 언어 | 타밀어 고대 크메르어 고대 말레이어 버마어 태국어 싱할라어 라오어 몬어 발리어 |
사용 시기 | 4세기 ~ 8세기 |
계통 1 | 브라흐미 문자 |
계통 2 | 타밀 브라흐미 문자 |
자매 문자 | 바텔루투 문자 |
후계 문자 | 타밀 문자 그란타 문자 몬-버마 문자 크메르 문자 참 문자 카위 문자 |
2. 역사
팔라바 문자는 타밀 브라흐미 문자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둥근 획과 직사각형 획을 모두 결합하고 서예적 효과를 더해 세속 및 종교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했다. 이는 브라흐미 문자 발전의 중요한 단계였다. 카담바-팔라바 문자[34]는 칸나다 문자와 텔루구 문자의 초기 형태로 발전했다.[35]
이 문자는 아직 유니코드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2018년 안슈만 판데이가 포함을 제안했다.[18]
2. 1. 팔라바 문자의 확산
팔라바 왕조 시대에 사제, 승려, 학자, 상인들은 동남아시아로 진출하면서 팔라바 문자를 함께 전파했다. 팔라바 문자는 타밀 브라흐미 문자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자음 글자가 보다 완전해졌다는 주된 특징을 가진다. 이는 둥근 획과 직사각형 획을 모두 결합하고 서예적 효과를 더해 세속 및 종교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만든, 브라흐미 문자 발전의 중요한 단계였다. '''카담바-팔라바 문자'''[34]는 칸나다 문자와 텔루구 문자의 초기 형태로 발전했으며, 나뭇잎과 종이에 쓰기 적합하도록 더 둥글어지고 고리 모양을 포함하게 되었다.[35]팔라바 문자는 같은 시대 이크슈바쿠 왕조 시대의 찰루키아,[16] 카담바, 벵기의 문자 체계에서도 볼 수 있듯이, 미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자음 글자를 더욱 충실하게 표현했다. 브라흐미 문자의 디자인은 촐라, 판디아, 케라라의 문자와는 약간 달랐다. "카담바-팔라바 문자"[17]는 초기 칸나다어와 텔루구어 문자로 발전했다.[17]
이 문자는 아직 유니코드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2018년 안슈만 판데이가 포함을 제안했다.[18]
3. 특징
여기서 소개하는 글자 형태는 7세기경의 예시를 바탕으로 한다. *표시가 된 글자들은 동남아시아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아 소릿값이 불확실하다.[1]
3. 1. 자음자
팔라바 문자의 자음 글자에 따로 모음 기호가 붙지 않으면 기본 모음 가 붙어 발음된다. 끼어드는 모음 없이 두 자음이 연달아 나타나면 두 번째 자음 글자는 아래첨자 꼴로 바뀌어 첫 번째 자음 글자 밑에 붙는다.ka | kha | ga | gha | nga |
---|---|---|---|---|
ca | cha | ja | jha* | nya |
ṭa | ṭha* | ḍa | ḍha* | ṇa |
ta | tha | da | dha | na |
pa | pha | ba | bha | ma |
ya | ra | la | va | |
śa | ṣa | sa | ha | |
3. 2. 독립 모음자
a | ā | i | ī | u | e | o | ai* | au* |
---|---|---|---|---|---|---|---|---|
4. 사진 자료
5. 유니코드
2018년에 유니코드에 이 문자를 인코딩하는 제안이 제출되었다.[18]
참조
[1]
서적
Indian Epigraphy
1998
[2]
웹사이트
Grantha alphabet
https://www.omniglot[...]
2018-09-13
[3]
웹사이트
Balinese alphabet
http://www.omniglot.[...]
2019-07-13
[4]
웹사이트
Tagalog
https://www.omniglot[...]
2018-09-13
[5]
웹사이트
Javanese alphabet
http://www.omniglot.[...]
2018-09-13
[6]
웹사이트
Kawi alphabet
https://www.omniglot[...]
2018-09-13
[7]
웹사이트
Khmer
https://www.omniglot[...]
2018-09-13
[8]
웹사이트
Lanna alphabet
https://www.omniglot[...]
2018-09-13
[9]
웹사이트
Lao
https://www.omniglot[...]
2018-09-13
[10]
웹사이트
Mon
https://www.omniglot[...]
2018-09-13
[11]
웹사이트
New Tai Lue script
https://www.omniglot[...]
2018-09-13
[12]
웹사이트
Sundanese
https://www.omniglot[...]
2018-09-13
[13]
웹사이트
Thai
https://www.omniglot[...]
2018-09-13
[14]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Writing Systems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15]
서적
LOST KINGDOMS: Hindu-Buddhist Sculpture of Early Southeast Asia
https://www.academia[...]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6]
이미지
http://www.skyknowle[...]
2022-03-00
[17]
웹사이트
Pallava script
http://www.skyknowle[...]
Skyknowledge.com
2014-02-02
[18]
논문
Preliminary proposal to encode Pallava in Unicode
https://www.unicode.[...]
2018-00-00
[19]
저널
Early Indic Inscriptions of Southeast Asia
https://www.academia[...]
2014
[20]
서적
Handbook of Literacy in Akshara Orthography
[21]
웹인용
Grantha alphabet
https://www.omniglot[...]
2018-09-13
[22]
웹인용
Balinese alphabet
http://www.omniglot.[...]
2019-07-13
[23]
웹인용
Javanese alphabet
http://www.omniglot.[...]
2018-09-13
[24]
웹인용
Kawi alphabet
https://www.omniglot[...]
2018-09-13
[25]
웹인용
Tagalog
https://www.omniglot[...]
2018-09-13
[26]
웹인용
Mon
https://www.omniglot[...]
2018-09-13
[27]
웹인용
Burmese
https://www.omniglot[...]
2018-09-13
[28]
웹인용
Khmer
https://www.omniglot[...]
2018-09-13
[29]
웹인용
Lanna alphabet
https://www.omniglot[...]
2018-09-13
[30]
웹인용
Thai
https://www.omniglot[...]
2018-09-13
[31]
웹인용
Lao
https://www.omniglot[...]
2018-09-13
[32]
웹인용
New Tai Lue script
https://www.omniglot[...]
2018-09-13
[33]
논문
Preliminary proposal to encode Pallava in Unicode
https://www.unicode.[...]
2018-00-00
[34]
웹인용
Pallava script
http://www.skyknowle[...]
Skyknowledge.com
2014-02-02
[35]
뉴스
Pallava - an important ancient script from South India
http://www.skyknowle[...]
2013-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